책 읽기

Henri Pirenne의 '마호메트와 샤를마뉴'

뚝틀이 2010. 11. 16. 02:14

    

 

 

 

 

 

 

 

 

 

Henri Pirenne(1862-1935),

Belgian historian and orientalist

 

 

 

 

 

오랫동안 궁금했던 점. 게르만족 이동으로 서로마제국이 몰락하고 동로마제국의 비잔틴 문화로 바턴이 이어졌다는데, 콘스탄티노플이 아닌 로마 또 서유럽에서는 어떤 일이 있었을까. 고트족이니 반달족이니 또 부르군트족이니 하는 파괴적 단어들만 들어봤지, 그들도 민족이고 그들의 나라도 권력체제이었을 텐데, 그들이 어떻게 살았으며 어떤 흔적을 남겼는지에 대해서는 내 전혀 아는 바가 없지 않은가. 그 궁금증을 풀 수 있을까 하는 마음에서 이 책을 손에 잡는다.

 

이 책은 앙리 피렌 교수의 사후 그의 유고를 제자 베르코트랑이 정리하여 1937년에 펴낸 것으로, '역사서' 그 전 단계로서의 '자료집' 성격이 강하다. 독자들에게 메시지를 전하기 위해 다듬는 단계를 거치지 못한 이 책이 읽기 쉽지 않은 것은 사실이다. 하지만, 관점에 따라서는, 당대의 법률서, 공문서, 문학작품, 수도원 문서뿐 아니라 주교의 편지나 상인들의 장부 등 온갖 자료를 인용해가며 자신의 '주장 체계'를 세워나가는 이 책을 읽다보면 마치 '논문 작성을 위한 토론회'의 일원이라도 된 듯 긴장감까지 느껴진다.

 

책 내용은 대충 이렇다. 사람들은 게르만족의 이동으로 로마가 망했고 그래서 암흑과 같은 문명단절의 시대인 중세가 시작되었다고들 이야기하는데, 사실 '갖춘 것 없는' 게르만족이 종교 제도 예술 어떤 면에서도 그 점령지역에 무슨 변화를 일으킬 위치에 있지도 않았고 오히려 로마문화에 동화되어 들어갔기에 비잔틴 제국을 중심으로 한 '지중해 로마'의 연속성에는 별 변화가 없었다. 정작의 단절은 '전혀 예기치 못한' 이슬람 세력의 등장해 아프리카와 에스파냐를 점령하며 '지중해 세계'를 중심으로 한 교역을 궤멸시켰기에 북유럽으로 그 생활의 축을 옮길 수밖에 없었던 프랑크 왕국 그 시대에 비로소 일어나게 되었다. 책 제목 <마호메트와 샤를마뉴>는 이런 내용을 이야기하고자 택한 상징적 표어인 셈이다.

 

로마 멸망 후, 교황의 권위가 추락한 후, 라틴어라는 글자를 쓸 줄 아는 사람들이 교회와 수도원에만 있었고, 대부분의 귀족들은 물론 샤를마뉴 대제조차 문맹이었다는 이야기를 읽으며 왜 중세를 암흑의 시기라 부르게 되는지 알게 되고, 또 좀 극단적으로 이야기해서, 황제라는 존재는 암살이라는 운명을 피하기 힘들고, 권력자라는 사람들은 결국 눈이 멀게 되는 형벌에 처해지거나 수도원에 유폐되는 운명을 겪을 수밖에 없을 정도로 정신없이 돌아가는 당시의 이야기를 읽으며 오늘을 사는 우리라는 존재에 대해 다시 한 번 생각하게 되는 것이 덤이라면 덤이라 할 수 있겠고. 한 가지 아쉬운 점이라면, 책 제목의 마호메트는 단지 이슬람 세력을 상징하는 '대명사'로 쓰였을 뿐, 그 자체에 관한 내용이 전혀 없다는 것인데, 내 그 동안 다른 곳에서 '충분히' 읽을 기회가 있었던 것이 다행이었다고나 할까.